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주 가격 인상 1병 6000원

by 반츠 2023. 2. 19.

지난해 일제히 올랐던 소주 가격 또 한 번 인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몇년 사이 서민들이 가장 즐겨 먹는 소주 맥주 가격이 터무니 없이 많이 올랐다. 19일 기획재정부와 주류 업계 등에 따르면 오는 4월부터 맥주에 붙는 세금이 작년보다 리터(L)당 30.5원 올라 885.7원이 된다. 이는 지난해 L당 20.8원이 올랐을 때보다 더 큰 인상 폭이다. 통상 맥주 세금 인상은 주류회사의 출고가 인상으로 이어진다. 원·부자재 가격과 물류비, 전기료 등이 계속 오르는 것도 맥주 출고가 인상 요인으로 작용한다.



소주의 경우 맥주처럼 주세가 인상된 것은 아니지만, 원가 부담이 결국 소주 가격 인상을 압박하는 상황이다. 소주는 주정(에탄올)에 물과 감미료를 섞어 제조한다. 10개 주정 회사가 공급하는 주정을 국내에서 독점 유통하는 대한주정판매는 지난해 10년 만에 주정값을 7.8% 올렸다. 또 제병 업체의 소주병 공급 가격은 병당 180원에서 220원으로 20% 넘게 상승했다.

 

주류 회사들이 2년 연속 출고가 인상을 결정할 경우 소비자가 직접 사야할 술 가격은 더 큰 폭으로 오르게 된다. 지난해를 보면 소주 1병 출고가가 85원가량 오르자 마트·편의점 판매 가격은 100원에서 150원이 올랐었다. 여기에 다른 원가 부담을 술값에 얹는 경향의 식당이라면 더 비싸진다는 것이다. 실제 가격이 100원 정도 오르는데 왜 식당의 소주 가격 은 1000원 ~ 1500원 가량 인상이 되는지 아직도 의문이다.



지난해 외식산업연구원이 일반음식점 외식업주 1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5.4%가 소주 출고가 인상에 따라 소주 판매가격을 올렸거나 올릴 예정이라고 했다. 이미 올린 업주들은 병당 500~1000원을 인상했다고 답하기도 했다. 만약 올해도 비슷한 추세라면 식당에서는 ‘소주 1병 6000원’ 가격표를 보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현재는 식당에서 평균적으로 5000원의 소주 가격이지만 소주 가격 인상으로 인해 1병에 6천 원이 넘는 가격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하이트 진로와 오비맥주 등 주류업체들은 아직 올해 출고가 인상 여부를 결정하지 않았다. 롯데칠성음료는 지난해 11월 맥주 가격 인상을 한 만큼, 올해 소주 가격 인상 및 맥주 가격 인상은 최대한 자제하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지난해 주류 물가는 외환위기 이후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주류 가격은 전년 대비 5.7% 상승했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11.5%를 기록한 이후 2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주류 물가 상승을 이끈 건 ‘국민 술’로 불려온 소주와 맥주다. 소주는 7.6% 올라 2012년 7.8% 이후 최고 상승률을 보였다. 맥주 역시 5.5% 상승해 2017년 6.2%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당시 하이트진로는 지난해 2월 ‘참이슬’ ‘진로’ 출고가를 3년 만에 7.9% 인상했다. 이어 한 달 뒤 ‘테라’ ‘하이트’ 출고가도 6년 만에 7.7% 올렸다. 롯데칠성음료는 3월 ‘처음처럼’ 출고가를 3년 만에 6~7% 인상했고 11월에는 ‘클라우드’ 출고가를 3년 만에 8.2% 올렸다. 오비맥주 역시 3월 6년 만에 ‘오비’ ‘카스’ ‘한맥’ 출고가를 평균 7.7% 올렸고 ‘한라산소주’ 출고가도 8%가량 높였다.


이외에 다른 주류 물가도 지난해 대부분 상승했다. 양주는 4.2% 올라 2013년 4.8% 이후 가장 많이 인상됐고, 약주도 4.8% 올라 2013년 5.2% 이후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막걸리는 2021년의 12.8%에 이어 지난해 7.2% 올랐다. 단 과실주는 1.1% 내려 유일하게 가격이 하락한 주류였다.


다만 하이트진로, 오비맥주 등 주류업체들이 아직은 올해 출고가 인상 여부를 결정하지 않은 상황이다. 롯데칠성음료는 작년 11월에 맥주 출고가를 올린 만큼, 올해 추가 인상은 최대한 자제하겠다는 입장이다.

댓글